"임플란트 하나에 120만 원 넘게 나온다는데… 건강보험 적용 안 되나요?"
그렇습니다. 실제로 65세 이상 노인에게는 건강보험으로 임플란트 시술비 일부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다 적용되는 건 아니며, 신청 요건과 절차를 잘 알아두어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건강보험으로 임플란트를 지원받는 조건, 신청 방법, 주의사항을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건강보험 임플란트 적용 대상
구분 | 내용 |
대상자 | 만 65세 이상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치아 상태 | 영구치 1개 이상 완전히 상실된 경우 (충치/사고 등) |
보장 범위 | 1인당 평생 2개 한도로 보험 적용 가능 |
적용 부위 | 어금니, 앞니 모두 가능 (단, 완전 무치악 제외) |
💡 틀니 건강보험과 중복 사용 불가
이미 틀니 보험을 적용받았다면 임플란트 지원 제한 있음
본인부담금은 얼마나 될까?
🔹 총 진료비의 30% 부담
즉, 임플란트 1개 비용이 약 100만 원일 경우
👉 약 30만 원만 본인이 부담
🔹 나머지 70%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
항목 | 일반 비용 | 건강보험 적용 시 |
진료비 | 약 100만~130만 원 | 약 30만~40만 원 |
적용 개수 | 제한 없음 | 평생 2개까지만 지원 |
건강보험 임플란트 신청 방법
- 치과 방문 후 건강보험 적용 여부 상담
- 진단서 및 엑스레이로 보철 필요성 확인
- 건강보험 자격 확인서 제출 (치과에서 대행 가능)
- 병원에서 건강보험 적용 치료 계획 수립
- 치료 후 본인부담금 결제 → 나머지는 공단 청구 처리
✔️ 일부 병원은 ‘임플란트 보험 적용 가능’ 치과로 검색하면 찾기 쉬움
임플란트 보험 적용 시 주의사항
- ❌ 60세 이하, 외국인, 피부양자 제외자 등은 적용 불가
- ❌ 과거 보험 적용받은 치아는 중복 적용 불가
- ⚠️ 완전 무치악(모든 치아 상실) 시에는 틀니만 가능
-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률이 더 낮음 (15% 수준)
비급여 임플란트와의 차이점은?
항목 | 건강보험 적용 | 비급여(일반) |
대상 | 만 65세 이상 | 제한 없음 |
개수 제한 | 평생 2개 | 제한 없음 |
비용 | 약 30~40만 원 | 100만 원 이상 |
진료 | 보험급여 기준 사용 | 고급 재료 사용 가능 |
디자인 선택 | 제한적 | 자유 선택 가능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과거에 임플란트 1개 했는데, 이제 65세 넘었어요. 보험 적용 되나요?
→ 보험 적용 이력 없는 2개 치아에 한해 가능. 기존 시술은 소급 불가
Q2. 상악과 하악 각각 1개씩 가능한가요?
→ 네, 위아래 구분 없이 총 2개까지 가능
Q3. 민간 치아보험과 중복 청구 가능한가요?
→ 대부분의 민간보험은 건강보험 적용 후 남은 본인부담금만 지급
→ 약관 확인 필수
🔗 함께 보면 좋은 글
치아보험 가입 전 꼭 확인해야 할 7가지
"임플란트나 보철 치료가 비쌀까봐 치아보험 들려고요…"하지만 무턱대고 가입하면 오히려 손해보는 경우도 많습니다.실제로는 보장 제외 항목이 많고, 면책기간도 길기 때문입니다.오늘은 2025
any.onsemirosi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