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조건 & 신청 방법

by 머그롤 2025. 7. 3.
반응형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조건 & 신청방법

 

"임플란트 하나에 120만 원 넘게 나온다는데… 건강보험 적용 안 되나요?"
그렇습니다. 실제로 65세 이상 노인에게는 건강보험으로 임플란트 시술비 일부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다 적용되는 건 아니며, 신청 요건과 절차를 잘 알아두어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건강보험으로 임플란트를 지원받는 조건, 신청 방법, 주의사항을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건강보험 임플란트 적용 대상

구분 내용
대상자 65세 이상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치아 상태 영구치 1개 이상 완전히 상실된 경우 (충치/사고 등)
보장 범위 1인당 평생 2개 한도로 보험 적용 가능
적용 부위 어금니, 앞니 모두 가능 (단, 완전 무치악 제외)

 

💡 틀니 건강보험과 중복 사용 불가

이미 틀니 보험을 적용받았다면 임플란트 지원 제한 있음

 

본인부담금은 얼마나 될까?

🔹 총 진료비의 30% 부담

      즉, 임플란트 1개 비용이 약 100만 원일 경우
      👉 약 30만 원만 본인이 부담

🔹 나머지 70%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

항목  일반 비용 건강보험 적용 시
진료비 약 100만~130만 원 약 30만~40만 원
적용 개수 제한 없음 평생 2개까지만 지원

 

 

 

건강보험 임플란트 신청 방법

  • 치과 방문 후 건강보험 적용 여부 상담
  • 진단서 및 엑스레이로 보철 필요성 확인
  • 건강보험 자격 확인서 제출 (치과에서 대행 가능)
  • 병원에서 건강보험 적용 치료 계획 수립
  • 치료 후 본인부담금 결제 → 나머지는 공단 청구 처리

✔️ 일부 병원은 ‘임플란트 보험 적용 가능’ 치과로 검색하면 찾기 쉬움

 

임플란트 보험 적용 시 주의사항

  • 60세 이하, 외국인, 피부양자 제외자 등은 적용 불가
  • ❌ 과거 보험 적용받은 치아는 중복 적용 불가
  • ⚠️ 완전 무치악(모든 치아 상실) 시에는 틀니만 가능
  •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률이 더 낮음 (15% 수준)

 

비급여 임플란트와의 차이점은?

항목 건강보험 적용 비급여(일반)
대상 만 65세 이상 제한 없음
개수 제한 평생 2개 제한 없음
비용 약 30~40만 원 100만 원 이상
진료 보험급여 기준 사용 고급 재료 사용 가능
디자인 선택 제한적 자유 선택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과거에 임플란트 1개 했는데, 이제 65세 넘었어요. 보험 적용 되나요?

보험 적용 이력 없는 2개 치아에 한해 가능. 기존 시술은 소급 불가

 

Q2. 상악과 하악 각각 1개씩 가능한가요?

→ 네, 위아래 구분 없이 총 2개까지 가능

 

Q3. 민간 치아보험과 중복 청구 가능한가요?

→ 대부분의 민간보험은 건강보험 적용 후 남은 본인부담금만 지급
→ 약관 확인 필수

 

🔗 함께 보면 좋은 글

 

 

치아보험 가입 전 꼭 확인해야 할 7가지

"임플란트나 보철 치료가 비쌀까봐 치아보험 들려고요…"하지만 무턱대고 가입하면 오히려 손해보는 경우도 많습니다.실제로는 보장 제외 항목이 많고, 면책기간도 길기 때문입니다.오늘은 2025

any.onsemirosite.com

 

 

반응형